Deepdiscount의 올리브 필름 BOGO 행사에서 〈하이 눈 (High Noon, 1952)〉과 〈해니 콜더 (Hannie Caulder, 1971)〉를 손에 넣었다. 사실 진짜로 갖고 싶었던 건 〈그리즐리의 밤 (The Night of the Grizzly, 1966)〉과 〈맥베스 (Macbeth, 1948)〉였는데 둘다 이미 품절되었는지 팔지 않아 꿩 대신 닭이란 느낌으로 구매했다.
버트 랭카스터와 데보라 커마저 구원하지 못한〈지상에서 영원으로 (From Here to Eternity, 1953)〉에 몹시 실망한 이후 프레드 진네만 감독의 영화에는 손이 가질 않아 아직도 〈하이 눈〉을 보지 않았는데 그래도 한 번쯤은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기분이 드는 영화라 구매했다. 영화가 의외로 맘에 든다면 그것대로 좋은 일이고, 영화가 예상대로라면 왜 긍정할 수 없는지에 대해 생각해보고 싶다.
〈해니 콜더〉는 이미 보았는데 아... 각오를 안한 건 아닌데 그 이상으로 불쾌한 영화였다. 남편을 잃고 강간당한 여성의 복수극인데 이 무거운 소재를 진지하게 다룰 생각이 전혀 없어 보인다. 라켈 웰치의 연기, 그리고 그녀를 담는 카메라는 도무지 강간 피해자를 다룬다고 생각하기 어려우며, 무엇보다 기분 나쁜 것은 영화의 삼분의 일 가량이 강간살인마 삼형제의 해니와 재회하기까지의 행보를 우스꽝스럽게 그린다는 점이다. 그 과정에서 이 범죄자들은 여전히 불쾌하지만 왠지 미워할 수 없는 구석도 있는 캐릭터들도 묘사되고야 만다... 이건 대놓고 착취적인 영화들조차 터부시하는 부분이지 않나? 애초에 강간-복수극에서 뭘 기대했느냐고 반문할 수도 있겠지만〈미즈. 45 (Ms. 45, 1981)〉같은 훌륭한 영화도 있는 판에. 감독이 랜오운 서부극의 각본을 담당한 버트 케네디라 안심하고 봤는데 이렇게까지 기분 나쁠 줄은 몰랐다.〈코만치 스테이션 (Comanche Station, 1960)〉에서 강간피해자와 그 가족에 대해 사려 깊게 접근하던 솜씨는 다 어디로 갔나.
게다가 부록으로 제공되는 "Exploitation or Redemption?: An examination of rape-revenge movies"라는 12분짜리 다큐멘터리는 더욱 가관이었다. 남성 해설자가 몇몇 강간-복수극의 강간 장면 시점 묘사에 대해 무척 재미있고 흥미롭다는 듯 시종일관 싱글벙글하며 설명을 하는데 내용이야 어찌되었든 그 표정만으로도 더 이상 보고 싶지 않아 감상을 중단했다. 착취 영화들에 관심을 갖게 되며 나 역시 제법 고민하던 주제라 반가운 부록이었는데 이게 뭐야.
〈히트〉는 열광하며 본지 거의 10년 정도 지나서 구체적인 장면장면에 대한 기억은 거의 없고, 흐릿한 기억에 의존해 볼 때 지금 다시 보면 "수컷의 고독"에 자아도취적으로 빠져 드는 민망한 영화가 아닐까 하는 우려가 있지만, 그래도 마이클 만 영화인데 재평가를 위해 3시간을 투자하는게 전혀 아깝지 않지.